본문 바로가기
생활창고

온라인 '나쁜헬퍼'의 실체: 가출 청소년을 노리는 위험한 덫

by 창구창고 2024. 7. 17.
반응형

가출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하는 '헬프'와 '헬퍼'라는 용어가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위험성과 실태를 살펴보겠습니다.

헬프와 헬퍼의 정의

  • 헬프(Help): 온라인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가출 청소년
  • 헬퍼(Helper): 도움을 주겠다고 나서는 사람들

 

온라인 헬퍼의 실체

1. 겉으로 보이는 친절

많은 헬퍼들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합니다:

  • "밥 사주고 재워줄게"
  • "아무것도 안 해도 돼"
  • "우선 만나서 얘기해보자"

2. 숨겨진 의도

하지만 이들의 진짜 목적은 다양합니다:

  • 성관계를 요구하는 경우
  •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
  • 만남을 강요하는 경우

3. 위험한 접근 방식

헬퍼들의 공통적인 특징:

  • 청소년의 나이와 위치를 확인함
  • 실종신고 여부를 확인함
  • "나는 믿어도 된다"고 강조함

청소년들이 위험에 빠지는 이유

  1. 가정 내 문제(폭행, 갈충, 가난 등)로 거리로 나옴
  2. 온라인에서 도움과 위로를 찾음
  3. 자신의 권리와 보호받을 방법을 모름

안전한 도움을 받는 방법

가출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:

  1. 공식적인 청소년 지원 기관 이용
  2. 학교 상담 교사나 신뢰할 수 있는 어른에게 상담
  3. 청소년 상담 핫라인 활용

결론

온라인상의 '헬퍼'들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청소년들은 공식적이고 안전한 경로를 통해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. 우리 사회는 이런 취약한 청소년들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을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.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